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작두콩차 효능을 알아보자
    카테고리 없음 2019. 7. 28. 02:34



    안녕하세요. 오늘은 작두콩차 효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작두콩이라고 하면 생소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더러 계실텐데요. 저 또한 작두콩에 대해 모르고 있다가 최근에 지인분께서 작두콩 말린 것을 주면서 한 번 뜨거운 물에 타서 마셔보라고 권유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작두콩차를 처음 마셨을 때 설마 맛이야 있겠어 생각했는데 한 모금 마시자마자 저의 생각을 180도 바꿔버렸습니다. 정말 고소하고 천천히 음미했을 때 달달하면서 향도 생각보다 좋아서 그 날 이후로 작두콩차의 매력에 빠졌습니다. 그래서 이 번 포스팅에 소개하려고 하는데요. 지금부터 작두콩차 효능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작두콩이란? 콩깍지의 모양이 작두처럼 생겼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한자로는 도두(豆)라고 하는데요. 작두콩의 원산지는 아프리카, 인도, 열대아시아로 식용과 약용으로 재배된다고 합니다. 


    옛 고려시대에는 왕실에서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6.25 전쟁 때 멸종하여 우리나라에선 볼 수 없게 됐지만 1990년대에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작두콩 종자를 선물 받아서 다시금 재배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시간이 흘러 작두콩차의 효능이 점점 알려지면서 현재까지 작두콩 재배가 많이 활성화 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작두콩차 효능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관지에 좋습니다

    작두콩에는 다양한 영양소가 함야되어 있는데요. 그 중에 폴라보노이드라는 영양소가 들어있습니다. 폴라보노이드는 대표적으로 항산화 작용을 하는 물질로 유명합니다.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몸에 들어있는 독소나 염증을 억제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기관기에 생기는 염증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좋은데요. 그래서 비염이 있거나 호흡기가 약하신 분들께서 드시면 정말 좋은 식품입니다. 비염이 있으신 분들은 꼭 드시길 추천합니다!!





    2. 다이어트에 효과적입니다

    작두콩에는 사포닌이라는 성분이 들어있습니다. 사포닌은 인삼에 많이 들어있다고 알려진 성분인데요. 이 사포닌이 인체에 유해한 나쁜 성분들이 체내에 흡수되는 것을 억제하고, 지방이 체내에 쌓이는 것을 막아준다고 합니다. 따라서 몸의 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막아줘서 다이어트를 하시는 분들께 정말 좋습니다. 




    3. 변비 예방 

    작두콩에는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있는데요.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대장 활동을 활발하게 도와줘서 변비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식이섬유가 대장에 끼어있는 숙변까지 함께 제거해주기 때문에 아랫배가 더부룩하고 딱딱하신 분들께선 작두콩차를 마시거나 작두콩을 반찬으로 즐겨드시면 대장의 건강을 되찾으실 수 있습니다. 




    4. 피로 회복

    작두콩에는 다른 일반적인 콩들에 비해 비타민C와 비타민A가 풍부하게 들어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비타민C는 우리 몸의 피로 회복과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비타민A는 야맹증을 예방하는데 좋은데요. 시력을 회복하는데도 많은 도움을 줍니다. 




    5. 몸을 따뜻하게 해줍니다

    작두콩은 따뜻한 성질을 가진 식품으로 위가 약하신 분들께서 드시면 좋다고 하는데요. 보통 위가 약하신 분들께서는 위가 차갑기 때문에 위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런 분들께서 따뜻한 성질을 가진 작두콩차를 드시면 위를 따뜻하게 해줘서 위 기능을 개선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손과 발을 따뜻하게 해주기 때문에 수족냉증이 있으신 분들께서 드시면 정말 효과적입니다. 





    지금까지 작두콩차 효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아직 작두콩차를 못 드셔보신 분이 계시다면 꼭 한번쯤 작두콩차를 드셔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요즘엔 간편하게 마실 수 있게 티백으로 나온 제품들도 많기에 마음에 드시는 제품으로 선정하셔서 한 번쯤 드셔보시기 바랍니다. 


    프리미엄 작두콩차 티백 보러가기



    댓글

Designed by Tistory.